당신의 상상이 현실이 됩니다
웹툰학과
멀티플랫폼 시대에 콘텐츠 한류를 주도할 K-웹툰 전문인 양성
2023학년도 웹툰학과 신설
창의력을 바탕으로 예술과 디지털미디어 기술의 체계적인 융합교육을 위한 2023학년도 웹툰학과 신설
우수한 웹툰시설
웹툰 트랜드에 맞춘 최신형 디지털 실습 기자재 구축
웹툰 관련 전ㆍ현직 업계전문가 교수진
- 최신형 디지털 수업인 VRㆍAR 교육시스템 - 콘티부터 시나리오까지 웹툰의 전반적인 작품 연재 시도 - 웹툰 창작 클립스튜디오를 활용한 공모전 출품
학생동아리 및 스터디 활동을 통한
- 동아리 : 피규어, 팬시, 모바일 등 캐릭터 개발의 동아리 활동 - 스터디활동 :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포토ㆍ일러스트 자격증 등 스터디 활동 - 국제화 프로그램 활동 및 다양한 수상 : 어학연수, 교육프로그램 연수등
교육과정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교수소개
서은경
교수(디자인대학장)
051-999-6240
웹툰, 현대미술, 융합예술 석·박사과정
artsek@silla.ac.kr
양현준
교수
051-999-5402
웹툰, 현대미술, 융합예술 석·박사과정
hyunjjun80@silla.ac.kr
감라영
초빙교수
051-999-5425
웹툰, 융합예술 석·박사과정
김지영
겸임교수
051-999-5425
웹툰
김봉관
외래교수
051-999-5425
웹툰
신우섭
외래교수
051-999-5425
웹툰
최수현
외래교수
051-999-5425
웹툰
오기도
교수
051-999-5425
융합예술 석·박사과정
도태근
교수
051-999-6239
현대미술, 융합예술 석·박사과정
신원정
초빙교수
051-999-5425
현대미술, 융합예술 석·박사과정
김덕진
초빙교수
051-999-5425
현대미술, 융합예술 석·박사과정
김진아
초빙교수
051-999-5425
현대미술
김지영
초빙교수
051-999-5425
현대미술
이욱상
겸임교수
051-999-5425
현대미술
취득 자격증
포토샵 자격증
프리미어자격증
캐리커쳐자격증
컬러리스트산업기사
컵퓨터그래픽운용기능사
웹 디자인기능사
졸업 후 진로
웹툰작가
웹소설작가
콘티작가
스토리작가
VRㆍAR웹툰니스트
팬시디자이너
웹툰PD
컨텐츠 기획자
웹소설작가
웹툰 작화의 기본이 되는 형태와 이미지형상 등의 반복적 연습으로 도구 사용과 만화 연출에 필요한 기본 요소들을 학습한다. 캐릭터, 배경 등이 화면에 어떻게 구성되는지, 작화 뎃생의 기본요소로서 체계적인 드로잉을 학습하는 과정이다.
웹툰에 3D프로그램 스케치업을 활용해 기초적인 웹툰의 배경을 다양하게 연습하고 스토리 구성에 알맞은 배경 연출 기법을 찾을 수 있도록 훈련한다.
웹툰 전반에 대한 이론 및 기초 지식을 쌓아 전공 소양을 갖춘 인재양성을 목표로 둔다.
웹툰, 웹 소설 등 다양한 콘텐츠 스토리 구성법을 학습한다. 주제, 소재, 캐릭터 설정 등을 연출하고 설정하는 방법, 내용 구성법, 반전 기법 등의 콘텐츠 스토리 글쓰기를 연습한다.
웹툰 콘텐츠의 지식을 쌓아 감성적 실기 위주의 교육으로 전공 소양을 갖춘 인재양성을 목표로 둔다.
시나리오는 기획의 참신성과 캐릭터의 독창성, 이야기 구조를 평가한다. 서식에 맞는 시나리오 기획서를 작성하며 기승전결에 맞춘 시나리오를 작성한다. 장르별 단편, 중편, 장편 등의 다양한 앱툰의 구조와 서사 구조를 분석하고 스토리를 구축하며 각 단계별 시나리오와 작품을 제작하여 매체연재를 위한 준비 과정이다.
웹툰 원고에서 중요한 콘티 제작법을 학습하고 스토리 전달기법, 화면 레이아웃, 만화적 연출 등을 연습하여 중, 단편 및 매체별 콘티 구성법을 익혀 실제 작업에 활용한다.
웹툰 디지털 플랫폼을 분석해서 학생 스스로의 학습방법을 기획하고 터득한다. 웹툰에 적합한 스토리 구성, 화면 구성 특히 디지털 채색방법을 학습, 이해, 제작하여 웹툰 작품을 제작 완성할 수 있도록 한다.
웹툰 콘텐츠의 전반적인 흐름과 역사에 대한 이론 및 기초 지식을 쌓아 전공 소양을 갖춘 인재양성을 목표로 둔다.
웹툰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 강화 교육이다. 다양한 디지털 매체에 활용할 수 있는 소재의 적정성, 연출의 짜임새 등을 심도 있게 학습한다. 창의적 발상을 통해 아이디어를 다양하게 도출해 보며 장르에 따른 기승전결을 완결하는 형식의 웹툰을 제작한다.
회화적인 감각과 일러스트레이션적인 발상법을 접목하여 창의작업을 유도한다. 텍스트의 이해를 도모하며 기법, 재료, 아이디어, 소재 발굴 등으로 작업을 진행하고, 표현력을 높인다.
웹툰 등에서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추출하여 상품화로 연결하는 과정이다. 디자인 적용과 컴퓨터 그래픽 툴을 점검하고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부여하게 된다.
영상장비, 웹과 앱 등에 활용이 가능한 학습하는 과정이다. 글로벌 웹툰 산업 컨셉으로 개인 작품 홍보 훈련을 강화시켜 경쟁력 있는 유투브 콘텐츠 제작에 목표를 둔다.
다양한 장르의 웹툰, 웹소설 스토리텔링을 기승전결로 제작한다. 구조, 표현, 테마의 차이점을 분석 이해하고, 단계별 스토리 제작 기법의 특성과 캐릭터를 설정하여 완성하는 시간이다.
3D웹툰과목과 연계된 과목으로 웹툰의 분위기와 연출에 맞는 배경을 제작함으로 웹툰의 완성도를 높이고 경쟁력있는 작품 제작에 목표를 둔다.
융합 상품 기획에서 분석, 기획한 프로젝트의 유통채널을 조사계획, 상표등록, 저작권등 상품화 사업을 위한 구체적인 운영방법을 학습하여 구체적인 계획안을 수립하는데 목표를 둔다.
k-웹툰 산업 육성을 위해 국외(중국,베트남,미국, 일본, 유럽 등)의 시장을 분석하여 각 나라별 트랜드한 시장을 조사, 분석을 통해 장르 선정, 시나리오 구성, 콘티연출 등을 기획하는 과정이다.
웹툰에서 제작된 결과물을 가지고 멘토와 매칭하여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마케팅 계획안을 수립하여 작업의 진행사항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도출하여 목표시장에 진입을 목표로 한다.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서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작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개인별 작품을 구성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산업체 연계 프로젝트에 참여하는데 필요로 한다.
취업과 창업(프로작가 데뷔, 프로젝트 수주 등)을 위해 준비하는 과정으로 개인별 졸업 후 목표에 맞는 기획서를 구성, 산업체 연계 프로젝트 참여하는 능력을 기른다.
취업과 창업을 위해 준비하는 과정이다. 개인별 졸업 후 진출 분야를 선정하여 각종 공모전, 취업 포트폴리오, 데뷔 위한 현장을 미리 방문하거나 실습을 통해 맞춤 개인별 작업을 완성하는데 목표를 둔다.
창작을 위한 매체에 적합한 스토리, 연출, 제작 기법을 습득하여 전문적인 기량을 습득하여 글로벌 웹툰산업 진출에 적합한 작품으로 진행하는데 중점을 둔다.
산학협력 실무현장에서 요구하는 실습과정 그대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상품의 프로젝트별 포트폴리오를 제작하여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이다. 하나의 콘텐츠 요소가 어떻게 상품으로 대중의 요구에 부응하게 되는지 상상력과 합의성이 결합된 크리에이티브 워크를 시행한다.